전체 글73 Day 8 "인센티브 효과 없는 인센티브" 인센티브의 일환으로 어떤 사람이 복지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을 때, 혹은 이 사람이 뭔가 실수를 할 때,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에 제한을 가하기도 한다고 앞에서 언급했다. 이런 조치는 가난한 사람들이 직업 훈련 프로그램 등의 복지 프로그램에 지속적으로 참가하지 않는 것은 동기 부여가 제대로 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판단을 전제로 한다. 사람들이 어떤 복지 프로그램에 너무도 쉽게 등록했다가 너무도 쉽게 그만두는 것은 제도 자체가 너무 물렁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이런 문제를 고치려고 기본적인 복지 프로그램에 연한을 설정했다. 그래서 현재 '빈곤가구를 위한 한시 부조 프로그램' 이 시행되고 있는데, 이 제도에 따라서 누구든 평생 총 60개월 동안만 이 프.. 2022. 10. 10. Day7 올 한 해는 정말 비가 많이 내리는 것 같다. 나는 바이크를 타고 다니는데 바이크를 타는 사람에게 비는 그리 좋지 않은 날씨이다. 오늘 아침도 눈을 떴는데 바닥이 젖어 있었다. '당신의 사업은 잘 굴러 가는가?' 배니하나는 잘 조율된 음식 외에도 많은 조직이 귀담아 들어야 할 중요한 교훈을 제공해 준다. 기업이 진정으로 희소한(결핍한) 자원을 포착할 정도로 안목이 있다 해도 희소성(결핍) 관리의 복잡성 및 이런 관리를 조금만 더 잘하더라도 발생할 수 있는 편익의 가치를 과소평가하는 경우가 흔하다. 조직 운영을 전공하는 코넬대학교의 연구원 셰릴 킴스는 멕시코 식당 체인인 쉐비스로부터 수익 개선 방안을 찾아 달라는 의뢰를 받고 이 작업을 하면서 그런 사실을 발견했다. 그녀는 우선 이 회사가 안고 있는 과제들.. 2022. 10. 9. Day 6 조직의 결핍을 관리하라 미주리에 있는 세인트존스병원에서는 수술실과 관련해서 한 가지 문제를 안고 있었다. 연간 약3만건이나 되는 외과수술이 32개 수술실에서 이루어지는데, 그러다 보니 수술실 일정을 조정하는 일이 여간 어려운 게 아니었다. 수술실 일정은 언제나 빈틈없이 꽉 차 있었다. 2002년에 이 병원의 수술실들은 그야말로 100퍼센트 풀가동되었다. 그래서 응급환자가 발생하면 병원은 어쩔 수 없이 오래전에 예정되어 있던 수술을 뒤로 미룰 수밖에 없었다. 사실 이 병원에서 이루이지는 전체 수술의 20퍼센트가 응급환자 수술이었다. 이 병원에서 일어났던 놀라운 사건들은 연구한 논문은 "그 결과 때로 새벽 2시에 수술을 하기도 하고, 의사들은 2시간짜리 수술을 하려고 여러 시간을 기다리기도 하고, 또 의사를.. 2022. 10. 8. Day5 "실패가 실패를 부르는 복합적인 가난" 가난한 사람은 돈에만 쪼들리는 게 아니다. 이들은 대역폭에도 쪼들린다. 이런 사실은 뉴저지의 쇼핑몰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사탕수수 농민 연구에서도 확인했다. 가난을 경험하는 사람, 혹은 돈 문제로 골머리를 앓는 사람은 여러 가지 테스트에서 상당한 정도로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이런 사람은 유연성 지능이 낮았다. 수행 제어 능력도 낮았다. 정신이 결핍에 시달릴 때, 그는 모든 것에 대해서 여유가 사라진다. 이런 사실은 중요하다. 단지 훈육과 관련된 행동만이 아니라 많은 행동들이 대역폭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대역폭에 지나치게 많은 세금이 부과될 경우, 건망증의 가능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이때 문제가 도는 것은, 자동차를 처음 샀던 해가 언제인지 기억.. 2022. 10. 7. 이전 1 ··· 14 15 16 17 18 19 다음